미중정책연구소 커뮤니티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입니다.- 공지사항
-
2024.0818
[세미나 2024.08.26] 한중 관계의 도전과 기회: 한중 외교 및 경제 관계 전망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는 아래와 같이 세미나를 개최 예정입니다.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 주제: "한중 관계의 도전과 기회: 한중 외교 및 경제 관계 전망" * 일시: 2024년 8월 26일(월) 14:00-17:00 * 장소: 국회박물관 2층 국회체험관 * 공동주최: (사)플라자프로젝트, 한중의원연맹,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 *세미나 당일 주차는 "국회의사당 국회둔치주차장"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4.0710
[학술회의 2024.07.02]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 제11회 한-중 정책학술회의
-
2024.0503
미중정책연구소 - 연구보조원(인턴) 선발 공고
연구보조원 (인턴) 선발 공고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에서는 연구보조원(인턴)을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선발하오니, 아주대학교 재학생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업무 및 혜택] 업무 : 행사지원, 자료정리 혜택 : 시급 (아주대 교내 학칙 준거), 식사 제공, 인턴 확인증 발급 [공고 세부사항] 1. 선발인원 : 총 10명 2. 소속 : 아주대학교 학부 1학년~4학년 재학생 또는 졸업생 3. 전공 : 전공 불문, 모든 학과 전공생은 지원 가능함 [지원서 접수] 1. 지원서 다운로드 :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 홈페이지 https://ucpi.ajou.ac.kr/ucpi 2. 지원서 제출 기한: 2024년 5월 10일 금요일 18:00 (오후 6시) 3. 지원서 제출 방법 : 이메일 제출 (PDF 또는 워드 파일) 4. 지원서 제출처 : 서대옥 실장 doseo@ajou.ac.kr [면접] 면접 일정 : 2024년 5월 14일 화요일 세부 일정은 추후 “개별통지”예정
-
2024.0818
- 언론보도
-
2024.0828
[코리아헤럴드 2024.08.28] How should S. Korea tackle growing China conundrum?
How should S. Korea tackle growing China conundrum? Experts urge Seoul to forge China policy that maximizes national interests, strengthens diplomatic autonomy As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has continued to intensify with expectations that it will likely persist, Seoul finds itself increasingly ensnared in a web of structural challenges in its relations with Beijing. With the rivalry itself serving as a key determinant that has caused challenges in critical areas such as economics and security, South Korea's already delicate and intricate China conundrum has become further complicated. South Korea-China relations have reached a pivotal crossroads, and a central question is how Seoul can meticulously craft a China policy that not only navigates the ongoing turmoil but also addresses the challenges straining its ties with Beijing. During a forum Monday co-hosted by The Plaza Project, a National Assembly-registered think tank, alongside the South Korea-China Parliamentarians' Union and the US-China Policy Institute at Ajou University, experts weighed in on Seoul's strategies for surmounting structural constraints. "The South Korea-China relationship is in crisis, with some describing it as the worst it has ever been. At this critical juncture, any misguided diplomatic decisions by either country could push the two countries into a prolonged period of mutual friction and confrontation," Kim Heung-kyu, the founder and director of the US-China Policy Institute at Ajou University and president of the Plaza Project, said during the forum. "As neighboring countries, their interests are deeply intertwined, and the more they clash, the greater the damage both will suffer." The Plaza Project -- a National Assembly-registered think tank -- the South Korea-China Parliamentarians' Union, and the US-China Policy Institute at Ajou University, co-host the forum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outh Korea-China Relations: Outlook on Diplomatic and Economic Ties" on Monday at the National Assembly. Session one covers the current state of bilateral ties and tasks to be addressed. (The Plaza Project) Structural challenges Experts noted that sinc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the economic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 characterized by the notion of "security with the US and economy with China" -- was fundamentally anchored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However, the 2010s, particularly the intensification of the US-China trade dispute in 2018, marked a turning point. The escalating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triggered a profound shift in South Korea's relationship with China, its largest trading partner, according to experts. Kim Han-kwon, a professor at the Center for Chinese Studies at the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described South Korea and China as being "in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ir relationship." "The South Korea-China relationship has entered the phase of redefinition, driven not only by bilateral dynamics but also by broader international forces, with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emerging as a primary factor," Kim said. Kim emphasized that Korea-China relations are confronting mounting "structural challenges" across 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spheres. Tensions arising from diverging values, such as human rights and democracy -- now more prominent amid the alignment of US-backed democracies against an authoritarian axis led by China -- are deepening the rift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t the same time, their industrial cooperation has transitioned from mutual complementarity to direct competition in sectors such as home appliances, mobile phones, electric vehicles, secondary batteries and OLED technology, driven by China’s industrial advancement. Rising nationalism in China has exacerbated cultural disputes, particularly over South Korean heritage like kimchi and hanbok, which China increasingly claims as part of its own heritage. In the military and security realm, the US is evolving its Indo-Pacific strategy from a traditional "hub-and-spoke" model to a more interconnected, lattice-like network aimed at strengthening regional alliances. South Korea is fortifying its military alliance with the US, improving relations with Japan and enhancing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two countries -- moves that have created diplomatic, economic and security-related strain with China. "The key issue now for South Korea is how to navigate these structural challenges within the current Korea-China relationship. Successfully addressing these challenges will be vital for redefining the relationship and shaping its future trajectory, which warrants close attention," Kim from the KNDA said. Kim Yeikyoung, a legislative research officer at the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emphasized that "the challenge of balancing the Korean government's values-based diplomacy with its pragmatic approach toward China will remain a persistent dilemma amid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deepening confrontation between the liberal and authoritarian blocs." South Korea should be prepared to navigate scenarios where it may be called upon clearly to articulate its stance on China's "core interests" at the global stage -- including contentious issues such as the South China Sea, the Taiwan Strait 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It is crucial for South Korea to develop responses and establish principles that align with its identity and role as a middle pow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gued Kim Yeikyoung. "Furthermore, it necessitates careful consideration of how to effectively convey these messages and provide global public goods that are universally accep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lignment with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s goal of positioning South Korea as a global pivotal state," she said. She also said the Yoon administration should strive to address key issues and challenges between Seoul and Beijing including stabilizing supply chains and promoting people-to-people exchanges as agreed upon in the meeting between Yoon and Chinese Premier Li Qiang this May in Seoul. National interests first Ahn Chi-young,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al Studies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underscored that South Korea "should develop a China strategy based on national interests." "The core objective of our China strategy must be to safeguard our security, peace, prosperity and continued development," Ahn said during the forum. Ah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ng with China to ensure the safety and stability of South Korea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address and eliminate any threats to these goals. "It is imperative to critically evaluate whether subordinating our security to the dynamics of US-China relations driven by China's emergence as a superpower -- and, in turn, positioning China as an adversary -- genuinely serves our national interests," Ahn said. "If China's rise as a superpower poses a threat to our security, we may need to strengthen and expand our alliance (with the US) for protection. However, if this is not the case, joining a US-led anti-China alliance -- and thereby antagonizing China -- could exacerbate security risks for us, which would not be in our national interest." Ahn also voiced strong opposition to the Yoon administration's China policy, criticizing it for relying on fixed assumptions about the US-China rivalry despite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landscape. Ahn argued that Seoul's current China polic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s of existential significance, akin to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US will ultimately prevail." He further asserted that South Korea's approach assumes there is "no alternative but to choose between the US and China." Principled but flexible Kim Han-kwon emphasized that as the US and China engage in long-term strategic competition, characterized by a mix of rivalry and dialogue, South Korea should prepare for various scenarios. Kim elucidated that Seoul should develop policies that adhere to clear principles while improving its diplomatic flexibility and maneuverability needed to adapt as circumstances evolve. "To that end, the crux lies in achieving strategic autonomy within the international arena," Kim said. "While maintaining the importance of our alliance (with the US), we must prioritize securing the space needed to exercise this autonomy, enabling us to uphold our principles while remaining flexible. It is imperative that we strengthen our policy capabilities." Park Soong-Chan,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Studies at Yong In University, said "Living alongside a powerful country like China is our inescapable reality, and we must approach this relationship with greater wisdom."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China, we should accept its system and institutions while focusing on enhancing our own strategic values," Park said. Park observed that the US has shifted its approach, recognizing that China is unlikely to change, which has led to a deepening decoupling between the two powers. In response, the US, while striving to maintain its global dominance, has paradoxically adopted a firm stance on conflict management to prevent further escalation with China. US National Security Adviser Jake Sullivan embarked on a three-day visit to China on Tuesday to hold talks with Foreign Minister Wang Yi and other officials, for instance. This trip marks the first visit by a US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China since 2016. "We must accept this reality with sober pragmatism and prioritize our national interests accordingly," Park said. "We need the boldness and wisdom to uphold our clear and strong principles, using both the US and China as leverage to advance our own interests."
-
2024.0806
[뉴스토마토 2024.07.30] 북·러에 선 긋는 중국…미 대선 앞두고 '윤 외교' 시험대
'미국만의 선거가 아니다'라는 말대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파장을 바라보는 동북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과 패권전쟁을 펼치고 있는 중국은 경제 문제가 걸린 만큼 마냥 미국과 거리를 둘 수도, 북한·러시아와도 마냥 가까이 지낼 수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윤석열정부 역시 미 대선이 가져올 파장에 대비해 외교 전략을 수정할 수밖에 없다는 제언이 나옵니다. 북·중 이상기류?…미 대선 앞두고 '관리 모드' 29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 뉴스>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 27일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체결일)을 맞아 개최한 열병식에 왕야쥔 평양주재 중국 대사가 불참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25전쟁 참전 중국군을 기념하는 조중우의탑에 참배하며 "혈연적 유대로 맺어진 조·중 친선이 열사들의 영생 넋과 더불어 굳건히 계승 발전될 것"이라고 밝힌 것과 대비됩니다. 앞서 지난 11일 북·중 우호조약 체결 63주년을 맞아 평양에서 열린 연회에 북한 측 참석자의 급도 낮아졌는데요. 이를 놓고 중국이 러시아와 연대하고 있는 북한에 비례적 대응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특히 북한이 유일하게 참여하는 다자 안보 협의체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불참했습니다. 최 외무상 대신 국장급인 리영철 주라오스 북한 대사가 자리를 대신했고, 이 영향으로 북·중 양자 회담은 불발됐습니다. 이를 놓고 북한의 최대 우방국인 중국이 북·러 간 밀착에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지난 25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양자 회담을 가진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도 "중국은 오직 한 국가의 이익만 지지한다. 바로 중국"이라며 "우크라이나나 러시아 어느 한쪽의 편도 들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 같은 중국의 행보는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이남주 성공회대 교수는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중국 입장에서는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미국과의 관계를 안정시키겠다는 의지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북한·러시아와의 균열이 심하다고는 할 수 없는데, 중국도 북·러를 나름의 외교 카드로 사용하기 위해 관계를 유지하며 미국과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관리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2기 땐 '가치 외교' 무너져…"외교·안보 라인 바꿔야"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신냉전 프레임에 거부감을 드러내 온 중국이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비에 나선 건데요. 이른바 '가치 외교'를 내세우며 이념에 몰두해 온 윤석열정부 역시 외교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윤석열정부의 외교 방향성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구한 '동맹 중심의 외교'와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의 대결에 방점이 찍혀 있는데요. 각종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상황이 달라집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동맹보다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자국의 이익을 중심으로 하는 외교를 펼칠 것으로 보입니다. 김흥규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 소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가치나 이데올로기보다 실용주의를 추구하며 미국 이기주의와 보호주의를 노골적으로 표방하는 대외관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우리 정부가 바이든정부에서처럼 민주주의 첨병 역할을 자임하다 보면 (트럼프 2기 때는) 마치 십자군 전쟁의 돌격대처럼 최전선에 홀로 남겨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윤석열정부가 미국 대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외교·안보 라인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며 "추상적 가치·이념 외교에서 벗어나 국가 이익을 위해 우리의 공간을 스스로 만들어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 대결에 첨병 역할을 자처하며 중국을 압박하고 러시아와도 전례 없이 악화된 관계를 이어가고 있는데, 트럼프 집권 때에는 이념과 가치 중심의 외교가 흔들려 국제 외교에서 고립될 수 있다는 겁니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든 트럼프 전 대통령이든 중국을 대하는 전술에 차이는 있을지라도 미국의 대중 전략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누가 당선되든 중국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 거세지면서 대중 압박에 나섰던 한국만 난처해질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한편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한·미·일 3국 국방장관 회의 차 일본 도쿄를 방문해 미국 <블룸버그>와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은 결단만 내리면 가능하도록 (7차)핵실험 준비를 마친 상태"라면서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이 결정이 미국 대선을 전후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1기 초기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진행한 후 2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 것을 고려하면, 북한의 전략적 행보가 우려됩니다.
-
2024.0726
[KBS 2024.07.20] 오물 풍선 도발 재개…대북 확성기 맞불 외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의 오물 풍선 도발이 다시 시작됐습니다. 북한은 지난 18일 오후 경기 북부 지역으로 오물풍선 200여 개를 날려 보냈습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4일과 16일 북한에서 대북전단이 발견됐다며 "처참하고 기막힌 대가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우리 군도 대북 확성기 방송으로 맞대응에 나섰는데요. 김 씨 일가 3대 세습 비판, 자본주의 체제 선전 등 북한 정권이 특히 민감해하는 내용을 담아 10시간 남짓 지속됐는데, 군 당국은 북한의 대응에 따라 추가 확성기 방송을 실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7월 셋째 주 <남북의 창> 시작합니다. 구사일생 트럼프, 한반도 영향은? 유세장 총격 사건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일정을 소화 중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됐습니다. 트럼프 캠프는 이번 피습을 계기로 보수층 결집에 나섰는데요. 이런 가운데 트럼프 측 인사들이 잇따라 한국과 관련된 발언을 내놓으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연 트럼프 2기가 출범하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는 건지, <이슈 앤 한반도>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공화당원의 애창곡인 '신이여 미국을 축복하소서'가 울려 퍼지고, 지지자들의 환호 속에 단상에 오른 트럼프 전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의 이민 정책을 공격하며 전광판 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찰나. [도널드 트럼프/전 미국 대통령 : "여러분, 통계가 말하는 진실을 보고 싶다면 여기를 보세요."] 어디선가 총소리가 들려옵니다. 총탄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귀를 관통했습니다. 0.5초가 가른 기적. 총격 순간 고개를 돌리지 않았다면,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었습니다. [토드 게르하르트/유세 참가자 : "무서워요. 총알이 사람들 옆으로 날아와서 이런 일이 벌어졌어요. 모르겠어요. 충격적이에요. 정말 충격적이에요."] 트럼프 전 대통령은 피를 흘리면서도 주먹을 치켜들며 건재함을 과시했습니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AP 사진기자가 포착한 이 장면은, 티셔츠에 인쇄돼 날개 돋친 듯 팔려 나갔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의 자화상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얼굴이 합성되는가 하면, 그가 영화 매트릭스처럼 총알을 피하는 패러디물까지 등장했습니다. 총격 사건 이후 바이든과 트럼프 두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율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미 CBS와 유거브 여론조사에 따르면 바이든은 47%, 트럼프는 52%로 격차가 5%포인트까지 벌어졌습니다. 코로나19에 또 감염된 바이든 대통령은 사퇴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김진아/한국외대 LD학부 교수 : "시기상으로 볼 때는 진짜 절묘하게 트럼프 열풍이 최고조로 올라가는 상황이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다만 앞으로의 문제는 지지층이 얼마나 더 투표장으로 나오느냐. 바이든 대통령 고령 문제로 인해서 민주당 내에는 분열이 심하잖아요. 그런데 공화당은 이 사건 이후로 더 결집할 요인들이 많거든요."] [에릭 트럼프/트럼프 전 대통령 차남/7월 15일 : "도널드 제이 트럼프를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공식 선언합니다."] 피격 사건 이후 공화당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제이디 밴스 상원의원을 부통령 후보로 낙점했습니다. 중국을 미국의 최대 위협으로 규정하고,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반대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중국과 유럽에선 벌써 경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흥규/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 : "우리로선 사실 더 걱정스러운 것이 미국의 제조업을 다시 부흥시키겠다는 생각을 아주 강하게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안보 동맹으로서의 한미 동맹이 대중 동맹으로 전환하고, 자유주의적인 무역보다는 미국 중심의, 미국을 우선으로 하는 경제 정책으로 바뀌게 되면 우리로서는 대단히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가 이길 경우 국가안보보좌관 후보로 거론되는 콜비 전 미 국방부 부차관보는 최근 한 정책 행사에 참석해 한국을 거론했습니다. "한국이나 인도, 폴란드 모두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데 왜 미국은 달라야 하느냐고 반문했습니다. 또, "중국을 상대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순간에 힘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해외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의 재배치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김진아/한국외대 LD학부 교수 : "이때 중요한 게 의회의 역할이에요. 왜냐하면 트럼프 1기 정부 때도 주한미군 감축 얘기가 나왔었잖아요. 이때 의회에서 어떤 조건을 달았냐면 국방부 장관이 왜 (주한미군) 축소가 필요한지 다 조사를 해서 상세히 의원들한테 보고를 해서 설득해야 된다는 절차적인 제동이랄까 이런 것들을 걸어놨거든요."] 그런가 하면 트럼프 1기 당시 외교안보 정책을 총괄했던 오브라이언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한국의 핵 역량 보유 선택지를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 인도태평양사령관이 북한의 핵능력에 우려를 나타내며,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도 비슷합니다. [사무엘 파파로/미 인도‧태평양 사령관 : "작전 분석의 결과 이러한 (핵잠수함 도입에 대해) 믿음이 생긴다면 추후에 추진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미 대선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지만, 이 같은 측근들의 발언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철학에 바탕을 두고 있는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단 분석이 나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7월 19일/국회 외통위 전체회의 : "핵 억제력 강화는 확장억제를 강화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정책 옵션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그러한 목소리는 또 한미 양국 정부의 이런 안보 협의 때 직간접적으로 반영이 되리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북중 관계 냉기류…북한 길들이기? 그간 혈맹이라고 강조해 온 북중 관계가 최근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군사적 밀착 행보를 이어가는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북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단 분석이 나오는데요. 과연 두 나라 사이에 어떠한 일이 있기에 이 같은 관측들이 나오는 건지 이어서 짚어 보겠습니다. 지난 9일 중국 외교부의 정례 브리핑 자리. 내외신 기자들의 쏟아지는 질문 공세에도 시원시원하게 답변하던 린젠 외교부 대변인의 표정이 일순간 굳어졌습니다. 북한 노동자들의 전원 귀국을 중국이 북측에 요청한 게 맞는지, 사실 확인을 묻는 질문이 나온 겁니다. 북중 관계에 적신호가 켜진 것 아니냐는, 질문의 의도를 파악한 린 대변인은 싸늘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나는 관련 매체가 전문적인 수준을 견지하면서, 사실에 근거해 객관적으로 보도하고, 뉴스를 소설처럼 쓰지 않기를 바랍니다."] 중국은 소설이라고 일축했지만, 북중 수교 75주년인 올해 두 나라 사이에는 연일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2018년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이 함께 우호를 과시했던 중국 다롄의 방추이섬 해변. 당시 두 사람의 발자국을 본떠 설치한 동판은 양국 우호의 상징이었지만, 올해 중국은 그 위에 아스팔트를 깔아 발자국을 없애 버렸습니다. [주민/음성변조 : "(발자국은 언제 철거됐나요?) 올해 덮었어요. 작년에는 제가 봤어요."] 북중 관계의 미묘한 변화는 또 다른 곳에서도 포착됐습니다. 지난 4월, 중국 당국은 밀수 의혹을 받고 있던 북한 공관에 대해 전격 압수 수색을 진행했습니다. 또, 10만 명 가량으로 추산되는 중국 내 북한 노동자들이 일괄 귀국하도록 북측에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게다가 지난 11일 열린 북중우호조약 체결 63주년 기념 연회는 참석자의 급이 낮아진데다 무슨 언급이 오갔는지도 양측 모두 자세히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북중 관계가 심상치 않은 데에는 최근 가속화되는 북러 관계가 작용했을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김진아/한국외대 LD학부 교수 : "중국은 진흙탕에 발 담그기 싫어해요. 지난주 나토 정상회의 때도 드러났잖아요. 중국이 우크라이나전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고 나토가 비난하니까 중국 입장에선 왜 북중러를 한통속으로 몰아가느냐 하면서 즉각적으로 반발했었거든요. 중국은 미국도 중요하지만 유럽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과 관계를 굉장히 잘 관리를 해야 되는 상황이고 게다가 중국은 러시아랑 달리 평판 비용에 여전히 민감해요."] 한미일 대 북중러와 같은 신냉전 프레임에 대해 중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거부감을 표시해 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북러가 신냉전 수준으로 회귀하는 조약까지 맺으며 밀착하자, 북한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표출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흥규/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 : "중국은 이 셋이 같이 관계를 강화시킴으로써 한미일 3국 군사협력 혹은 협력 체제와 대립되는 구도로 만드는 걸 원치 않아요. 그리고 중국은 러시아하고 북한하고 같은 급의 국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현재 유엔헌장을 어기고 지금 영토 침략을 한 국가고 북한은 소위 말하는 로그 스테이트(불량국가) 아니에요."] 북한으로서도 경제난 타결을 위한 선물을 기대했던 중국에 서운함이 컸을 거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지난 4월 중국 공산당 서열 3위인 자오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의 방북은 별다른 선물 보따리 없이 마무리 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흥규/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 : "북한은 당장 급한 에너지 문제라든가 기타 대외 어떤 여러 가지 자원을 획득하는 문제에 있어선 러시아가 도움을 줄 거기 때문에 당장은 문제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만약 종전이 되거나 좀 더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본다면 결국은 북한이 의존해야 될 국가는 중국이거든요."] 하지만 북한이 무너지는 건 자국의 안보에도 부담스러운 만큼 중국이 계속 북한을 외면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향후 북중 관계는 지금 같은 긴장 관계에서 등락을 반복하다, 미국 대선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등으로 주요 변곡점을 맞을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
2024.0828